본문 바로가기
알레르기 이야기

'알레르기 프리' 제품을 판매하는 글로벌 식품 기업들 소개

by 하이 와이즈 2025. 4. 3.

글로벌 식품 기업들은 식품 알레르기를 가진 소비자층이 증가함에 따라 ‘알레르기 프리’ 제품 개발을 중요한 전략으로 삼고 있습니다. 특히, 대체 원료를 활용한 혁신적인 제품 개발과 더불어, 엄격한 품질 관리 및 인증 시스템을 도입하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식품 기업의 '알레르기 프리' 제품 전략

 

1. 주요 글로벌 식품 기업들의 '알레르기 프리' 전략

 

1) 네슬레(Nestlé)

 

  • 유당, 글루텐, 견과류 등을 제외한 다양한 제품군 출시
  • 식물성 단백질 기반의 대체 우유(오트밀크, 아몬드밀크) 및 대체 육류 브랜드 확장
  • 알레르기 정보를 강조한 클린 라벨 정책 강화

 

2) 유니레버(Unilever)

 

  • ‘Ben & Jerry’s’와 같은 아이스크림 브랜드에서 유제품이 포함되지 않은 제품군 판매
  • 비건 및 글루텐 프리 제품을 별도로 개발하여 소비자 선택지 확대
  • 식물성 단백질 연구 및 푸드테크 스타트업과 협력

 

3) 다논(Danone)

 

  • 유당 불내증 소비자를 위한 식물성 요거트 및 치즈 대체 제품 출시
  • 알레르기 친화적인 어린이용 간식 개발
  • 알레르기 프리 제품의 영양 균형 개선을 위한 연구 강화

 

4) 몽드레즈(Mondelez International)

 

  • 글루텐 프리 및 견과류 미함유 과자 제품 출시
  • 크래커, 쿠키 등에서 밀가루 대신 쌀가루 및 타피오카 전분 활용
  • 소비자 신뢰를 위해 공정 및 시설 내 교차오염 방지 시스템 도입

 

5) 타이슨 푸드(Tyson Foods)

 

  • 육류 알레르기를 고려한 식물성 대체육 브랜드 개발
  • 대두 및 글루텐을 포함하지 않는 단백질 공급원 연구

 

6) 제너럴 밀스(General Mills)

 

 

  • 제너럴 밀스는 1,200개 이상의 글루텐 프리 제품과 750개의 비건 제품을 제공하며, 알레르기 및 식이 제한이 있는 소비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음

 

 

7) 크래프트 하인즈(Kraft Heinz)

 

 

  • 크래프트 하인즈는 소비자들이 제품의 성분과 영양 정보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투명한 라벨링을 제공
  • 크래프트 하인즈는 치즈 부문에서 글루텐 프리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제품을 출시함

 

 

2. 글로벌 시장에서 알레르기 프리 제품을 위한 주요 전략

 

1) 클린 라벨과 원재료 투명성 강화

 

  • 소비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원재료 및 알레르겐 정보 명확히 표시
  • ‘무(無) 첨가’ 제품군 확대

 

2) 혁신적인 대체 원료 개발

 

  • 콩, 귀리, 아몬드 등 식물성 원료를 활용한 대체 제품 연구
  • 발효 기술을 이용한 대체 단백질 개발

 

3) 푸드테크와 협력 확대

 

  • 스타트업과 협력하여 최신 기술을 활용한 알레르기 프리 제품 개발
  •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소비자 맞춤형 식품 추천 시스템 도입

 

4) 글로벌 인증 강화

 

  • 알레르기 프리 인증(GFCO, Vegan, Non-GMO 등)을 통한 신뢰 확보
  • 각국의 식품 안전 규정을 준수하며 제품 포트폴리오 확장

 

이처럼 글로벌 식품 기업들은 소비자들의 건강과 안전을 고려하여 알레르기 프리 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향후 시장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알레르기 프리 제품이 다양하게 개발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