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레르기 이야기

알레르기 예방을 위한 식품 라벨 읽는 법

by 하이 와이즈 2025. 2. 16.

1. 식품 라벨 확인을 해야 하는 이유

 
식품 알레르기를 가진 사람들에게 가장 중요한 습관 중 하나는 식품 라벨을 꼼꼼하게 확인하는 것입니다. 
식품 라벨에는 제품에 포함된 성분 목록, 알레르기 유발 물질, 영양 정보, 보관 방법 등이 표시되어 있으며 이를 정확히 읽고 이해하여야 알레르기 반응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가공식품에는 우리가 예상하지 못한 다양한 성분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저도 아이의 알레르기를 겪으면서 생각지도 못한 곳에 들어가는 재료들을 보고 깜짝 놀란 적이 많습니다.  지금은 어느 정도 익숙해졌지만요. 
예를 들어, 우유 알레기가 있는 사람은 단순히 우유만 피하는 것이 아니라 제품에 포함된 카제인 등의 용어도 주의해야 하고 버터, 생크림, 치즈 등 모든 유제품을 피해야 합니다.  카레가루에도 우유 성분이 들어가는 경우가 많으니 확인이 필요하지요. 
 
또한 "이 제품은 땅콩과 같은 시설에서 제조되었습니다."와 같은 제조시설 문구도 아주 적은 양에도 반응하는 심한 알레르기가 있다면 주의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같은 제조시설을 사용한다면 혼입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지요. 


 

알레르기 예방을 위한 식품 라벨 읽는 법
영양제를 구입할 때도 원료명을 확인해야 합니다


 

2. 식품 라벨에서 반드시 확인해야 할 정보

 
식품 라벨을 확인할 때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잘 살펴보아야 합니다. 
 

1) 원재료명 및 함량  

  • 원재료 목록은 일반적으로 사용된 양이 많은 순서대로 기재됩니다. 
  • 밀가루, 설탕, 계란 순서대로 기재되어 있다면 밀가루가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다는 뜻입니다.
  • 알레르기 유발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지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2) 알레르기 유발 물질 표시

  • 국내에서는 법적으로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높은 원료에 대한 표시가 의무화되어 있습니다. 
  • 대표적인 알레르기 유발 식품으로는 우유, 계란, 땅콩, 호두, 밀, 대두, 견과류, 새우, 메밀, 돼지고기, 조개류, 잣 등이 있습니다.  
  • 제품 라벨에 "알레르기 유발 성분 : 우유, 밀 함유" 등의 문구가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3) 교차 오염 관련 문구 확인
 

일부 식품은 알레르기 유발 성분이 직접 포함되지 않았더라도, 같은 제조시설에서 만들어 질 수 있습니다. 
" 이 제품은 복숭아를 가공하는 제품과 같은 시설에서 제조되었습니다." 하는 문구가 있다면 복숭아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제조 시설에 대한 부분은 사람에 따라 알레르기 반응이 없는 경우도 있어서 조심스럽게 소량 시도해 보고 괜찮은지 확인해 볼 수도 있겠지만,  극소량에도 반응하는 알레르기 성분이라면 당연히 피하는 것이 안전하겠습니다. 
 
 
4)  식품 첨가물 및 다른 이름 파악하기 
 

  •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성분이 생소할 수 있는 다른 이름으로 표기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유제품이 포함된 경우 '우유'라고 표기되지 않고 카제인, 유청, 락토글로불린 등의 이름으로 표기될 수 있습니다. 
  • 이런 명칭들도 숙지하고 있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3. 해외 제품의 식품 라벨

 
알레르기 프리 제품을 찾다보면 해외 제품들도 접하게 되므로 수입 식품이나 해외에서 제품을 구매할 때의 라벨 표시법도 알아두면 좋습니다. 
 

  • 미국 : Contain(포함 성분), May Contain(교차오염 가능성)
  • 유럽 : Allergens(알레르기 성분), May sontain traces of(미량 함유 가능성)

 
밀, 보리 등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글루텐 프리(Gluten-Free) 또는 "GF" 인증 마크가 있는지 확인하면 좋습니다. 
 

그리고 유제품, 계란 등의 동물성 원료가 포함되지 않은 제품은 비건(Vegan) 인증 마크도 체크해 볼 수 있습니다. 
 
 

4. 안전한 식품 선택을 위한 추가적 내용

 
1) 특정 브랜드나 안전한 제품 찾아두기
 

  • 알레르기 전용 식품을 제조하는 브랜드를 찾아두면 좀 더 편하게 제품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국내에도 많지는 않지만 글루텐 프리 전문 베이커리나, 알러지 프리 제품을 만드는 곳이 있어서 저도 몇 군데 찾아두고 종종 온라인으로 주문하여 이용하고 있습니다.  

 
2) 정기적인 병원 검사와 상담
 

  • 알레르기는 변화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아이들은 알레르기가 없어지기도 하고 새로 생기기도 합니다. 그래서 정기적으로 병원에서 알레르기 검사를 받고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식품 알레르기를 가진 사람들에게는 식품 라벨을 꼼꼼하게 확인하는 일이 정말 중요한 일입니다.
식품 라벨의 원재료명을 정확히 읽고, 알레르기 유발 성분과 교차오염 가능성을 체크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예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