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레르기 이야기

음식 식품 알레르기 원인과 증상, 주의할 점까지 알아보자!

by 하이 와이즈 2025. 2. 3.

 
안녕하세요. 저는 음식 알레르기에 대해 잘 모르고 살아오다가 첫째 아이에게 음식 알레르기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된 후로는 알레르기에 대해 열심히 공부하고 고민해 왔던 것 같습니다.
 
오늘은 음식(식품) 알레르기가 무엇인지, 원인부터 증상, 주의할 점에 대해 적어보려고 합니다. 
 

식품 알레르기 원인과 증상, 주의할 점까지 알아보자!
출처 : 픽사베이

 
 

1. 음식 알레르기의 정의

 
음식(식품) 알레르기란 특정 음식에 포함된 단백질이 면역 체계에 의해 유해한 물질로 오인되어 과민 반응을 일으키는 질환이예요. 평범한 음식도 일부 사람들에게는 면역체계를 자극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킵니다.  
 
우리 몸의 면역 체계는 외부에서 들어온 물질이 해로운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필요할 경우에는 방어작용을 합니다.
알레르기 체질을 가진 사람들은 특정 식품의 단백질을 위험 요소로 잘못 인식하여 히스타민과 같은 염증 유발 물질을 분비합니다.  이 과정에서 가려움, 두드러기, 심한 경우 호흡 곤란이나 아나필락시스 같은 심각한 반응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알레르기라고 하면 두드러기나 가려움 정도만 생각했는데 호흡곤란까지도 올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고 참 두려웠습니다. 
저희 아이도 아기 때는 피부 반응만 있었는데 자라면서 다양한 반응을 겪었기 때문에 알레르기의 무서움을 직접적으로 느꼈습니다.
 
 

2. 음식 알레르기의 발생 원인

 
현재 알려져 있는 음식 알레르기의 첫번째 원인은 유전적 요인입니다.
유전적으로 부모가 알레르기 체질이라면 자녀에게도 유사한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고 하고 합니다.


저는 약간의 아토피, 남편은 약간의 비염이 있지만 식품알레르기는 없었기 때문에 아이가 처음 알레르기 반응을 보였을 때 많이 놀랐습니다. 그리고 둘째는 식품 알레르기가 없어서 부모가 알레르기 체질이라고 해서 무조건 아이도 알레르기가 있다고 볼 수는 없는 것 같습니다.


또 다른 원인은 환경적 요인이에요. 서구화된 식습관이나 오염된 환경, 항생제 사용의 증가 등이 알레르기 발생률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합니다.  


음식 알레르기는 보통 영유아 시기에 처음 나타나지만, 성인이 되어서 새롭게 발생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3. 대표적인 음식 알레르기 원인 음식

 
 
음식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음식을 매우 다양합니다.  그중 전 세계적으로 보고된 대표 음식 8가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우유 : 다양한 유제품에 포함
2) 계란 : 특히 계란 흰자
3) 땅콩 : 소량 섭취에도 심각한 반응 유발 가능성 있음
4) 견과류(호두, 캐슈넛, 아몬드 등) : 견과류도 반응이 세다고 함
5) 대두(콩) : 두유, 된장, 간장 등에 들어감 
6) 밀(글루텐) : 광범위하게 사용됨.  보리, 귀리에도 글루텐이 있을 수 있음 
7) 생선 
8) 갑각류(새우, 게, 오징어 등)
 
 

4. 음식 알레르기 증상

 
 
음식 알레르기의 증상은 사람마다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피부 반응(두드러기, 발진, 가려움)
위장 장애(복통, 설사, 구토)
호흡기 반응(콧물, 기침, 숨 가쁨)
 
심한 경우는 아나필락시스 쇼크로 인해 의식을 잃거나 생명이 위험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알레르기 반응이 보이면 증상이 악화되기 전에 신속하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알레르기 반응은 음식 섭취 후 바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1~2시간 이후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아직 의사표시를 정확하게 하기 어려운 유아의 경우에는 보호자의 세심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5. 음식 알레르기의 예방과 안전한 생활을 위해 주의할 점

 
1) 식품 라벨 꼼꼼하게 확인하기 
마트나 온라인으로 가공식품을 구매할 때는 알레르기 유발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지 항상 확인합니다. 
"호두와 같은 제조시설을 사용 중입니다."라는 안내표시도 직접적으로 들어가지는 않지만 알레르기 유발 음식의 혼입 가능성을 표시한 문구입니다. 보통은 괜찮은 경우가 많지만 극소량에도 반응하는 경우라면 제조시설까지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2) 외식 시 알레르기 유발 식품 확인하기
식당에 갔을 때 알레르기 유발 식품이 들어가는지 늘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같은 음식도 식당마다 레시피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저희도 새로운 식당에 가게 되면 늘 여쭤봅니다. 
 
3) 학교 및 유치원과 소통하기 
아이가 알레르기가 있다면 미리 알리고 응급 대처법을 공유해야 합니다. 
아이가 새 학년이 될 때마다 마음이 무겁지만 꼭 해야 하는 일이지요. 
 
4) 음식 공유는 주의하기 
친구나 주변에서 나눠주는 음식을 무심코 먹지 않도록 아이에게 알려주어야 합니다. 
주변에서 나눠주는 음식을 저희 아이만 못 먹을 때는 아이도 저도  참 속상했습니다. 그래서 아이가 어릴 때는 항상 가방에 아이가 먹을 수 있는 간식거리를 가지고 다녔습니다. 
 
5) 비상약 소지, 응급 대처법 알고 있기
저희는 항상 비상약을 가지고 다니고 아나필락시스를 겪은 후에는 응급 주사도 가지고 다니고 있습니다. 
늘 조심하는 편이지만 그래도 사고는 잠시 방심한 사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비상약은 꼭 가지고 다니는 것이 좋습니다. 
 


 
 
음식 알레르기는 단순한 불편함이 아니라 생활의 질을 떨어뜨리기도 하고 심한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예방법과 대처법을 익히고 생활 속에서 주의한다면 안전하고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오늘도 건강한 하루 보내시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