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레르기 이야기

견과류 알레르기의 위험성과 주의할 점

by 하이 와이즈 2025. 2. 20.

1. 견과류 알레르기란? 

 

견과류는 건강에 좋은 불포화지방산과 단백질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즐겨 먹는 식품입니다. 하지만 일부 사람들에게는 견과류가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합니다. 

견과류 알레르기는 면역계가 견과류 단백질을 유해한 물질로 오인하여 과민반응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가벼운 증상부터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아나필락시스까지 다양한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견과류 알레르기는 주로 땅콩, 아몬드, 호두, 캐슈너트, 피스타치오, 브라질너트, 마카다미아 등에서 발생합니다. 

땅콩은 콩과 식물에 속하지만 보통 견과류 하면 떠올리는 식품이기도 하고, 단백질 구조가 일부 견과류와 유사하여 교차반응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사람에 따라 땅콩은 괜찮지만 다른 견과류에는 알레르기 반응이 있기도 하고 반대의 경우도 있습니다. 

 

견과류 알레르기의 위험성과 주의할 점

 

 

2. 견과류 알레르기의 주요 증상과 위험성

 

결과류 알레르기의 증상도 다른 식품 알레르기와 마찬가지로 사람마다 증상이 다를 수 있으며 섭취 후 몇 분에서 몇 시간 이내에 나타납니다. 증상의 강도는 가벼운 피부 반응에서부터 호흡 곤란, 혈압 저하 등의 심각한 반응까지 다양합니다.

 

견과류 알레르기의 주요 증상

  • 두드러기, 발진, 가려움 등의 피부반응
  • 복통, 구토, 설사 등의 소화기 반응
  • 코물, 기침 재채기, 쌕쌕거림 등의 호흡기 반응
  • 호흡 곤란, 혈압 저하, 의식 저하 등의 심각한 반응(아나필락시스)

아나필락시스는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 상황으로 견과류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이 견과류가 포함된 음식을 섭취한 후 입술이 붓기 시작하거나 숨쉬기 어려워지는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에 가야 합니다.  응급 처치로 에피네프린을 즉시 사용하고 119에 신고합니다.

견과류 알레르기는 다른 알레르기에 비해 심각한 경우가 많아 자가 진단보다는 병원에서 전문가의 진단을 받고 정확한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식단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견과류가 포함된 음식과 교차 반응 주의하기

 

견과류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은 단순히 견과류 자체만 피하는 것이 아니라 견과류가 들어간 다양한 가공 식품과 교차 오염 가능성이 있는 음식에도 주의해야 합니다. 

 

견과류가 포함될 수 있는 대표적 식품

  • 초콜릿, 아이스크림, 시리얼, 쿠키, 케이크
  • 땅콩버터, 너트바, 에너지바
  • 일부 소스(피넛소스, 타이 음식 등)
  • 일부 커피 및 음료(견과류 음료, 헤이즐넛 시럽 등)

식품 라벨을 볼 때 견과류 포함, 땅콩 함유 가능, 교차 오염 가능성 등의 문구를 확인하고 외식할 때도 견과류가 사용되었는지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도록 합니다. 

 

4. 견과류 알레르기 예방 및 관리 방법

 

견과류 알레르기는 평생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알레르기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예방과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1) 식품 성분표 확인 습관화

  • 땅콩, 아몬드, 호두, 캐슈넛, 마카다미아 등이 포함되었는지 확인하기
  • 교차 오염 가능성 문구도 확인하기

 

2) 외식 시 사전 확인

  • 요리에 견과류가 들어가는지 직원에게 문의하기
  • 타이 음식, 디저트류(초콜릿, 아이스크림 등)에도 견과류 포함 여부 확인하기 

 

3) 응급 상황 대비

  • 에피네프린 항상 소지하기

 

4) 어린이 견과류 알레르기 관리

  •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에 알레르기 정보 전달
  • 간식이나 급식에서 견과류 포함 여부 확인하고 필요시, 대체식 준비

 

5) 면역 치료 고려

  • 일부 연구에서는 소량의 견과류를 점진적으로 섭취하며 면역 내성을 키우는 방법이 효과가 있을 수 있다고 하며, 면역 치료에 대한 부분은  반드시 전문의와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견과류 알레르기는 철저한 관리와 예방이 필수적인 알레르기 중 하나입니다.  밀이나 유제품처럼 광범위하게 쓰이지는 않더라도 생각보다 많은 곳에 견과류가 사용되고 있으니 항상 주의가 필요합니다. 

 

적절한 식단 조절과 성분 확인, 응급 대처법을 숙지하여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을 유지하시기 바랍니다.